생활비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부분 중 통신비는 조금만 공부하면 많은 부분을 절약할 수 있는데요 그중에서 가장 먼저 찾아봐야 할 부분인 선택약정 25% 할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택약정 25% 통신비 할인받는 방법 궁금하신 분들이라면 끝까지 확인해서 통신비 절약하세요
목차
선택약정
선택약정은 2014년 10월 1일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생겨난 약정 제도로써 기존 핸드폰을 구입할때 받았던 보조금을 개선한 부분입니다.
선택약정 가능 여부 확인 바로가기
기존에는 핸드폰을 초기 개통할 때 단말기 가격에 대한 보조금으로 약정할인제도를 이용하였지만 중고 단말기, 해외구매 단말기, 자급제폰, 할부 약정이 만료된 단말기 등 다양한 단말기에 대한 할인은 없어 높은 통신료를 납부해야 하므로 1년 혹은 2년을 약정하여 매달 요금을 25% 할인받을 수 있는 방법이 선택약정 할인입니다.
가입조건
선택약정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계약 또는 재계약 당시 보조금을 안 받은 경우
- 무약적으로 구입한 단말기(ex 공기계, 자급제 폰), 해외구매, 제조사 구매 폰 등
- 최초 개통한 지 24개월이 지난 단말기
- 개통 시 보조금을 받았지만 해지하면서 위약금을 낸 단말기
- SKT, KT, LGU+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알뜰폰은 가입 불가)
신청 페이지
선택약정은 각 통신사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가입이 가능하며 인터넷이 어려운 경우 모바일 앱 또는 고객센터를 통해서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SKT 선택약정 신청 바로가기
KT 선택약정 신청 바로가기
LG U+ 선택약정 신청 바로가기
선택약정은 12개월 또는 24개월 중 선택하여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12개월, 24개월 모두 할인율은 25%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왕이면 12개월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24개월을 선택하게 되면 사용하는 중간에 다양한 변수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인데요 새 폰을 구매하였거나 분실의 염려, 번호이동 계획 등이 없으신 분들 이어도 12개월씩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약정이 유리한가?
그렇다면 공시지원금, 선택약정 중 어떤 약정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까요?
이는 자신이 사용하는 요금제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되는데요 우선 공시지원금을 24개월로 나눠서 매달 할인 되는 요금을 산출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산출된 요금이 내가 사용하는 요금제에 25% 할인 (선택약정)을 적용하였을 때 할인되는 금액보다 너 많다면 공시지원금을 선택하는 것이 좋고 더 적다면 선택약정 할인을 받아서 매월 요금할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유의 사항
선택약정 할인 제도를 이용할 때는 몇 가지 유의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요 꼭 확인하세요
- 약정 기간을 잘 확인하여 늦지 않게 재약정한다. (12개월 또는 24개월 약정 기간을 선택한 후 제대로 확인하지 않으면 약정이 끝나 할인이 안된 가격으로 통신료가 청구되니 꼭 유의해야 함)
- 약정기간 만료 전 해지 않는다. (약정기간 만료 전 해지 시 반환금이 청구됨)
- 미적용 요금제로 변경하지 않는다. (선택약정이 적용되지 않는 요금제가 있으니 확인이 필요함)
- 명의변경을 진행하게 된 경우 양수인에게 약정을 승계해야 합니다.
위와 같은 유의 사항만 주의하신다면 매월 25%의 통신료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인 선택약정을 활용하여 통신료 부담을 줄여 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