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분들에게는 꼭 필요한 알뜰교통카드 신청방법 및 추천 카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날로 높아지는 교통비로 인하여 생활비 걱정 되는 직장인, 용돈이 한정적인 학생까지 다양한 혜택과 마일리지 적립으로 생활비 및 용돈 아껴 보세요!
목차
알뜰교통카드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 접속 한다.
- 카드발급안내 항목에서 원하는 카드를 찾아본다.
- 알뜰교통카드 사업 지역을 꼭 확인한다.
- 카드를 발급받고 할인받으며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알뜰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비 지출에 부담이 큰 서민들에게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는데요 이는 개인의 자발적인 노력을 통한 보상으로 대중교통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함은 물론이고 카드사의 추가할인 혜택을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 카드입니다.
마일리지는 집에서 버스정류장까지 이동한 거리와 대중교통 이용 후 회사 또는 학교까지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마일리지는 월 대중교통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 지급되며 적립 방법은 출발·도착 입력 시 위치 기반 마일리 산정으로 진행됩니다. 즐겨찾기를 등록하게 되면 해당 정류장 이용 시 등록 위치 기반 마이리지가 산정되며 신체활동, 건강 등 걸음수 수집 권한 허용 시 대중교통 이용 시간대의 15분 도보수 기반 마일리지가 산정됩니다.
가입방법
알뜰교통카드에 가입하는 방법은 홈페이지 또는 전용앱에서 가능합니다. 단, 가입전 선불형 또는 후불형 알뜰교통카드를 준비해야 합니다.
알뜰교통카드 종류는 총 24가지가 있으며 신용/체크, 선불/후불, 실물/모바일 등으로 선택이 가능 합니다.
2023년 7월 기준으로 신한, 우리, 하나, 캐시비, 티머니, IM원패스, 삼성, KB국민, 현대, NH농협, 광주은행, 케이뱅크, BC카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기존에 이용하였던 카드사를 이용하거나 새로운 카드사에서 발급 진행 하시면 되겠습니다.
회원가입은 PC와 모바일앱 2가지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으나 알뜰교통카드 사용을 모바일앱으로 하기 때문에 모바일앱으로 회원가입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카드를 발급받았다면 발급받은 카드번호 16자리를 등록해야 하며 본인명의 휴대폰으로 본인인증 후 회원가입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마일리지를 제대로 적립받기 위해서는 주소지 검증이 필요한데요 이 절차가 필요한 이유는 집에서 출발해서 버스정류장까지 경로를 확인하여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는 시스템이다 보니 출발지인 주소지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해당 주소지검증을 진행해야 원활한 마일리지 적립 및 할인이 가능합니다.
사용방법
회원가입 절차가 이루어진 후 본격적으로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용 어플을 이용해야 합니다. 이유는 집에서 출발할 때 출발하기 버튼을 누르고 회사 또는 학교에 도착하여 도착 버튼을 눌러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자주 이용하는 동선을 즐겨찾기로 등록해 두시면 출발, 도착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알뜰교통카드 앱은 보행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적립되기 때문에 위치서비스는 "항상"으로 설정해 주셔야 합니다.
추천카드
알뜰교통카드는 다양한 종류의 카드를 선택할 수 있는데요 개인적으로 다음 조건에 맞는 카드를 추천드립니다.
- 신용카드 보단 체크카드로!
- 알뜰교통카드 이외에도 다른 혜택이 있는 카드로!
- 전월 실적 없는 카드로!
그래서 제가 추천드리는 카드는 케이뱅크 MY체크카드 알뜰교통플러스입니다.
알뜰교통카드 기능에 전월 실적 없어도 건당 300원, 월 최대 15.8만 원 캐시백이 가능하고 체크카드라 연회비가 없다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
캐시백 영역 및 대상 가맹점 역시 주변에서 편리하게 이용가능한 곳이 많으며 영화, 도서, OTT, 토익 가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여 실적 압박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댓글